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

정부지원 보청기, 얼마까지 가능한가요? 가격 vs 성능 비교

by 조이아버지 2025. 5. 2.

 

2025년 현재, 보청기 가격은 브랜드와 형태, 기능, 그리고 구매 방식에 따라 천차만별입니다. 귓속형, 귀걸이형, 초소형 등 다양한 형태의 보청기가 있으며, 포낙, 오티콘, 시그니아, 벨톤 등 세계적인 브랜드 제품들의 가격은 기본형 100만 원대부터 고급형은 800만 원에 달합니다. 정부지원금으로는 최대 131만 원까지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특히 기초생활수급자나 차상위계층은 부담 없이 구매가 가능합니다. 본 글에서는 브랜드별 가격 차이, 할인 폭, 정부지원 활용 방법 등을 바탕으로 ‘어떤 보청기가 나에게 맞는지’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목차


정부지원 보청기, 얼마까지 가능한가요? 가격 vs 성능 비교

 

보청기 가격대별 정리

보청기의 가격은 다음과 같은 요소에 따라 달라집니다.

  • 채널 수: 소리 분해 능력에 직결 (2채널~24채널 이상)
  • 기능: 블루투스, 충전식, AI 소음제거 등
  • 형태: 귓속형, 귀걸이형, 초소형 등
  • 브랜드: 글로벌 브랜드 여부

일반적으로 가격대는 다음과 같습니다.

  • 보급형: 70만 원 ~ 150만 원
  • 표준형: 150만 원 ~ 300만 원
  • 고급형: 300만 원 ~ 500만 원
  • 프리미엄형: 500만 원 ~ 800만 원

브랜드별 보청기 가격 및 성능 비교

2025년 기준 인기 브랜드별 가격 비교는 아래와 같습니다.

브랜드 모델명 등급 정가 할인가 (70%↓)
포낙 오데오 인피니오 스피어 90 프리미엄형 800만 원 240만 원
오티콘 인텐트 1 프리미엄형 870만 원 261만 원
시그니아 퓨어 BCT 7IX 프리미엄형 700만 원 210만 원
벨톤 세린 17 프리미엄형 760만 원 228만 원

 

단, 브랜드마다 기능과 소리 처리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직접 착용 후 비교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부지원 보청기 신청 방법

지원금은 국민건강보험 또는 기초생활보장제도 등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이비인후과 청력 검사 → 청각장애인 등록
  2. 보청기 적합 관리기관(센터) 방문 및 견적서 발급
  3. 보청기 구입 후, 관련 서류와 함께 건강보험공단에 신청
  4. 지급 심사 후, 지원금 지급 (최대 131만 원)

지원 금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 일반 건강보험 가입자: 117만 9천 원 (본인부담 약 11만 원)
  •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최대 131만 원 전액 지원

보청기 선택 시 체크리스트

보청기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청력 손실 정도: 심도에 따라 고출력 모델 필요 여부 판단
  • 착용 편의성: 귓속형 vs 귀걸이형 선택
  • 충전식 여부: 일상생활 편의성을 고려
  • 보청기 센터 접근성: 사후 관리가 매우 중요
  • 무료 체험 제공 여부: 실제 착용 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

보청기 구매는 단순히 ‘가격’만으로 결정할 수 없습니다. 청력 상태, 착용 환경, 브랜드의 기술력, 사후 서비스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현명한 선택이 가능합니다. 정부의 보청기 지원제도를 적극 활용하면 100만 원 이상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신청 자격이 있다면 반드시 이용해보시기 바랍니다.